지난해 2월 하노이 회담 결렬 이후 제자리 걸음인 북미 비핵화 대화. <br /> <br />남북 사이에도 훈풍은 멎고, 찬바람만 불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북한은 스스로 제시한 연말 시한이 지나자, 새로운 전략무기 개발을 운운하며 정면돌파에 나서겠다고 으름장을 놓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실질적 비핵화 조치가 먼저냐 제재 완화를 비롯한 상응 조치가 먼저냐. <br /> <br />팽팽한 줄다리기에서 협상 상대인 미국을 자기 쪽으로 끌어 당기려는 움직임으로 풀이됩니다. <br /> <br />그렇다면 이 시점에서 북한의 변화를 이끌어 내기 위해 어떤 대북 정책이 필요할까요? <br /> <br />YTN이 리얼미터에 의뢰해 국민의 생각을 물었습니다. <br /> <br />현재 축소된 한미 연합 군사 훈련을 다시 강화하는 등의 강경책으로 돌아서야 한다는 응답이 36.1%로 가장 많았습니다. <br /> <br />그다음 지금의 대북 정책 기조를 유지하며 북한의 변화를 기다려야 한다는 응답이 28.1%로 뒤를 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북한의 민생 경제 부문의 제재를 일부 풀어주는 등 좀 더 적극적인 유화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은 25.3%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모른다거나 답하지 않은 응답자는 10명 중 한 명 꼴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응답자들을 지지정당별로 나눠 분석해 보니 뚜렷한 대조를 이뤘습니다. <br /> <br />민주당 지지층은 현행 기조를 유지해야 한다는 입장과 유화책이 필요하다는 입장으로 양분됐습니다. <br /> <br />한국당 지지층에선 정부의 강경한 태도를 주문하는 목소리가 72%로 압도적으로 높았습니다. <br /> <br />정치성향별로 나눈 결과에서도 그 흐름은 이어졌지만 정도는 다소 완화됐습니다. <br /> <br />진보층에선 '현행기조 유지, 유화책 추진' 의견이 팽팽한 것으로 조사됐고 한국당 지지층의 절반 이상은 강경책이 필요하다고 봤습니다. <br /> <br />중도층은 강경책 추진에 대한 의견이 40% 가깝게 나온 가운데, 현행 기조 유지와 유화책 추진 의견도 각각 29.6%, 22.3%로 적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연령별 조사 결과는 어땠을까요? <br /> <br />19세 포함 2030에서는 강경책과 현행 기조 유지가 팽팽하게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4050세대는 강경책이 우세한 가운데 유화책도 30% 넘는 응답자의 선택을 받았습니다. <br /> <br />60세 이상은 강경책을 선택한 비율이 38.4%로 가장 높았고 현행 기조 유지와 유화책이 비슷한 비율로 집계됐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 여론 조사 결과는 언뜻 강경책 높게 나온 것으로 보이기도 합니다만, 햇볕 정책을 계승한 현 정부의 대북 기조를 고려하면 강대강 대치나 압박을 통한 문제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00106134449776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